기록으로 보는 환경교육

콘텐츠

기록으로 보는 환경교육

 “환경교육”이란 국민이 환경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환경을 보전하고 개선하는 데 필요한 지식ㆍ기능ㆍ태도ㆍ가치관 등을 갖추어 환경의 보전 및 개선을 실천하도록 하는 교육을 말합니다.(환경부, 2022)

환경문제의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하기 위한 국제적인 노력은 지난 반세기 동안 다각적인 방법으로 이루어져 왔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국제사회는 환경문제 해결에 있어 별다를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습니다. 결국 환경문제가 근본적으로 자연에 대한 인간의 잘못된 인식과 태도, 가치관이 낳은 문제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환경교육의 중요성 또한 계속 높아지고 있습니다.

환경교육은 학교환경교육과 사회환경교육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한국의 학교환경교육은 198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습니다. 1981년 제4차 교육과정에서 환경교육을 추가했으며, 1995년부터는 '환경'과목을 독립된 정규과목으로 선정하여 교육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환경교육은 학교교육만으로는 완전하지 않습니다. 환경은 인간이 태어나서부터 죽을 때까지 전 과정에 걸쳐서 관계되기 때문에 평생교육과정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에 환경운동단체들은 사회환경교육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자발적이고 현장성이 강한 환경교육운동을 펼쳐왔습니다.

2020년 국가환경교육센터가 사회환경교육을 수행하는 전국의 환경교육 기관 및 단체들 171개를 대상으로 조사한 '국가환경교육 현황조사'에 따르면, 환경교육의 현황 및 규모는 다음과 같습니다.

환경교육 기관 및 단체 현황

(단위: 개)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지역별 현황

(단위: 개)

인구대비 환경학습자 비율

(단위: %)

환경교육은 주로 아동 및 초등학생들이 가장 많이 참여하고, 61세 이상의 성인이 가장 적게 참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환경교육 대상의 구분은 환경부가 중심이 되어 생애주기를 기준으로 유아(7세 이하), 아동(8~13세), 청소년-중등(14~16세), 청소년-고등(17~19세), 성인전기(20~34세), 성인중기(35~60세), 신중년(50~64세), 성인후기(65세 이후) 단계로 나누어 대상별로 환경교육의 기본방향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환경교육 대상별 현황

(단위: %)

환경교육의 방법들

환경교육의 주제는 다양하지만 크게 지구환경, 자연환경, 생활환경, 환경문화의 네 개 영역으로 범주화하여 정리할 수 있습니다.

환경교육의 주제들


[참고문헌]

  • 환경부. (2022). 환경 시민과 함께하는 2022 대한민국 환경교육.
  • 장미정, 김문옥, 유영초, 이다현, 임수정, 전푸름. (2021). 생애주기 맞춤형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패러다임 연구. 환경교육, 34(4), 452-469.
  • 국가환경교육센터. (2020). 2020 국가환경교육 현황조사
  • 장미정, 김성우, 유아영, 김은영, 임수정, 전푸름, 김룻(2020b). 2019 서울환경교육편람. 모두를위 한환경교육연구소, 서울특별시 환경정책과.
  • 조성화, 정호선, 이성희, 김문옥, 이윤미, 안새롬, 손유란, 최선경(2018). 2018 대한민국 환경교육 현황조사 연구. 한국환경교육네트워크, 환경부.
  • 서은정(2017). 2015 개정 환경 교육과정에서의 역량 탐색. 환경교육, 30(3), 237-250.
  • 교육부(2015).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및 각론 확정 및 발표.
  • 박태윤, 정완호(2001). 환경교육학개론. 파주: 교육 과학사.